(6) 기술정보 및 신기술
기업들이 기술정보를 입수하는 원천은 동종업체(21.1%) 또는 국내 연구소 및 대학(21.1%)이며, 그 외 수요업체(15.8%), 사업자단체(10.5%), 해외업체(10.5%) 등으로 조사되었다.
2004년 조사시와 비교하면 기술정보의 원천으로 동종업체인 경우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술정보 수집상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정보 수집이 용이하다고 응답한 기업(5.3%)이 2004년 조사시에 비해 더 줄어들었으며, 보통(47.4%)이라고 응답한 업체의 비중이 높아졌다.
또한 상당히 어렵다고 응답한 기업이 2004년 조사시보다 더 많이지고 있는 것은 기술정보의 습득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IT, BT, NT 등 소위 신기술과 기존 주력제품 기술과의 융합 추진에 대해서는 전체 기업의 15.8%가 기술융합을 추진하고 있으며, 2004년 조사(38.0%)에 비해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술융합을 추진 중인 기업의 경우 추진분야로서는 전자 기술 및 소재기술이 중심이 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한편, 환경친화적 개발을 위한 중점분야로는 2004년 조사시와 유사하게 생산공정 개선(36.8%)에 소재개선(15.8%), 폐기물 감축(15.8%) 등이 중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선산업의 특성상 제품 크기의 감축, 제품 무게의 감축, 포장재개선감축 등은 거의 미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7) 기술개발 성과
2004년 조사시와 비교하면 수출확대효과를 제외한 품질수 준확대효과, 매출확대효과 등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개발제품의 시장진출시 애로점으로는 수요업체의 가격인하 요구(31.6%)가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국내 수요업체의 국산품 기피(21.1%)와 타 업체의 유사품 출시(15.8%) 등도 시장진출시 애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04년 조사시와 비교하면 기존수입품 가격인하(5.3%) 및 행정규제나 절차(5.3%) 등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8> 조선산업의 기술정보 수집 난이도 단위 : %
구분 |
매우어려움 |
상당히어려움 |
약간어려움 |
보통 |
약간용이 |
상당히용이 |
매우용이 |
2차조사(2004) |
2.2 |
15.6 |
39.1 |
26.1 |
10.9 |
1.1 |
1.1 |
3차조사(2007) |
- |
21.1 |
26.3 |
47.4 |
5.3 |
- |
- |
<표9> 조선산업의 기술융합 대상기술 단위 : %
구분 |
전자기술 |
소재기술 |
에너지기술 |
정보기술 |
환경기술 |
바이오기술 |
나노기술 |
기타 |
2차조사(2004) |
18.8 |
28.1 |
3.1 |
25.0 |
18.8 |
3.1 |
- |
3.1 |
3차조사(2007) |
33.3 |
33.3 |
- |
- |
- |
- |
- |
33.3 |
<표10> 조선산업의 환경친화개발 중점분야 단위 : %
구분 |
2차조사(2004) |
3차조사(2007) |
제품 크기의 감축 |
2.2 |
- |
제품 무게의 감축 |
8.9 |
- |
소재의 개선 |
28.9 |
15.8 |
리사이클링 |
8.9 |
10.5 |
생산공정의 개선 |
34.4 |
36.8 |
디자인, 물류개선 |
2.2 |
10.5 |
포장재 개선, 감축 |
2.2 |
- |
폐기물 감축 |
8.9 |
15.8 |
배출가스 감축 |
3.3 |
10.5 |
<표11> 조선산업의 개발제품 시장진출 애로요인 단위 : %
구분 |
2차조사(2004) |
3차조사(2007) |
기존 수입품 가격인하 |
10.3 |
5.3 |
국내 수요업체의 국산품 기피 |
6.9 |
21.1 |
수요업체의 가격인하 요구 |
48.3 |
31.6 |
행정규제, 절차 |
6.9 |
5.3 |
타 업체의 유사품 출시 |
13.8 |
15.8 |
기타 |
13.8 |
21.1 |
<그림7> 조선산업의 기술정보 원천
(8) 품질관리
품질관리의 구성요소에 대한 조사에서 기업들은 설계 품질 관리(52.6%)의 비중이 2004년 조사시보다 더 높아졌으며, 종업원교육(15.8%), 소비자욕구대응(15.8%), 최고경영진의 노력(10.5%), 도급기업 품질관리(5.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9) 해외협력
해외 연구개발 협력분야로서는 개발연구(66.7%)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응용연구(22.2%), 기초연구(11.1%)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표12> 조선산업의 품질관리 구성요소 평가 단위 : %
구분 |
2차조사(2004) |
3차조사(2007) |
소비자욕구 대응 |
12.5 |
15.8 |
설계 품질관리 |
37.5 |
52.6 |
벤치마킹 |
- |
- |
도급기업 품질관리 |
- |
5.3 |
품질정보 유통 |
6.3 |
- |
종업원교육 |
25.0 |
15.8 |
최고경영진 노력 |
18.8 |
10.5 |
<표13> 조선산업의 정부지원 희망사항 단위 : %
구분 |
2차조사(2004) |
3차조사(2007) |
연구인력 양성지원 |
3.5 |
26.3 |
산.학.연 연계강화 지원 |
20.7 |
15.8 |
연구개발자금 지원 |
58.6 |
36.8 |
첨단연구개발설비 확충 |
10.3 |
5.3 |
연구개발기반 정비 확충 |
6.9 |
5.3 |
연구개발 규제정비 |
- |
10.5 |
<그림8> 조선산업의 기술개발의 경제적 성과
<그림9> 조선산업의 해외연구개발 협력분야
(10) 정부의 역할
연구개발 활동에 대한 정부의 역할로는 연구개발자금의 지원 확대라고 응답한 기업이 36.8%로 나타났으며, 연구인력 양성지원(26.3%), 산.학.연 연계강화 지원(15.8%), 연구개발 규 제정비(10.5%), 첨단 연구개발 설비 확충(5.3%) 및 연구개발 기반 정비확충(5.3%)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2004년 조사와 비교하면 연구인력 양성지원과 연구개발 규제정비에 대한 항목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