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밸브의 형식과 특징
밸브의 선정에 있어서 <표 4.15>에 나타난 특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 밸브 몸체의 설계강도 및 구동장치의 용량 선정시 구경과 최대수압(펌프의 흡입헤드 펌프의 체절양정) 뿐만 아니라, 밸브 몸체내의 최대유속등 밸브관 전후에 발생하는 최대차압등도 고려하여야 한다.
<표4.15 밸브의 형식과 특징>
종류 |
밸브형식 |
구조 |
특징 |
단점 |
적용범위 | |
조
절
밸
브 |
슬
로
우
스
형 |
공 통 |
- 밸브 몸체가 밸브몸통내를 이용하여 밸브의 개폐를 행하는 방식. |
- 전폐시의 압력 손실이 적다. - 액체의 차단성이 좋다. |
- 반폐시 배면에 유수에 의한 와류를 발생시켜 침식 등 진동을 일으키기 쉽다. - 전폐-전개의 리프트가 커서 개폐에 시간이 걸린다. - 높이가 길다. - 교육효과는 스토로크의 약80% 이상 폐쇄함으로써 나타난다. |
- 중, 저양정 펌프의 토출밸브, 흡입밸브 - 관로 연결, 차단용 - 유량 조정용 |
바깥나사 |
- 밸브 몸체를 이동하기 위하여 스핀들 나사부를 밸브몸통의 바깥 부분에 만들어 스 핀들과 몸체를 일 체로 만들어 상하 이동하는 형식 |
- 나사부의 내마모, 내부식에 대하여 우수 |
-전높이가 안나사식 에 비하여 길다. |
- 부식성유체 - 개폐빈도가 많은 것 | ||
안나사식 |
- 밸브몸체를 이동 하기 위하여 스핀 들나사부가 밸브몸 통의 안쪽에 있으 며, 스핀들을 상하 로는 이동하지 않 고 회전만 하는 형식 |
- 바깥나사식에 비햐여 전높이가 낮다. |
- 나사부가 유체에 접촉하기 때문에 마모, 부식되기 쉽다. |
- 개폐빈도가 적은것 - 보통의 물 | ||
로
타
형 |
|
- 원추모양의 밸브 몸체 중에 관로와 동일한 유로를 설 치하고 이것을 밸 브내에서 약간의 상하 이동과 90°의 회전을 시켜서 개 폐를 행하는 형식 |
- 전개시에는 완전 한 원통형유로를 형성하므로 압력 손실 적음. - 전폐시에는 완전 밀폐가 가능하다. - 유량조절이 우수 하다 - 개폐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 |
- 다른 밸브에 비하여 약간 고가 이다. |
- 펌프토출밸브 - 차단, 유량 조절용 - 긴급 폐쇄 밸브로 서 사용 - 고압에서 사용 가능 | |
버
터
플
라
이
형 |
공통 |
- 밸브 몸체와 축이 일체가 되어 축의 회전에 의해 개폐 를 행하는 방식의 밸브 |
- 슬루우스, 로타형 보다 소형, 경량이 다. |
- 슬루우스, 로타형 에 비하여 전개시 압력 손실이 크다. |
- 유량조정용 - 펌프토출밸브, 흡입밸브 | |
수밀식 |
- 밸브 몸체 내면에 고무시트를 설치하 여 밸브외주를 크 롬도금 한것 - 밸브몸체에 고무 를 취부한 것 |
- 수밀성은 슬루우 스 밸브와 동일함 - 구조간단 |
- 고무취급이 복잡하다. - 경년변화에 의해 누설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
- 일반적으로 10kgf/㎠ 이하에 서 사용한다. | ||
비수밀식 |
- 밸브몸체측 아래 에 고무시트를 설 치하지 않고 금속 으로 접속 시킨것 |
- 구조간단 |
- 수밀에 대해서 기대는 할 수 없다. |
- 유량, 압력 조정용 | ||
역
류
방
지
밸
브 |
슬
림
거
형 |
공통 |
- 흐름을 일정 방향 으로만 흐르게 한 밸브로서 밸브의 동작은 슬링거식이 다. |
- 차압에 의해 자동 적으로 개폐한다. |
- 압력 손실이 비교 적 크다. - 완전 수밀은 곤란 |
- 펌프정지시에 역류방지를 자동 적으로 행한다. |
보통형 |
- 소구경(50mm 이 하)에서는 슬링거 식외에 리프트식 도 있다. |
- 구조가 간단 |
- 펌프비상 정지의 경우 폐쇄시의 충 격도 있음. |
- 구경 500mm 정 도 이하는 1장의 밸브, 600mm 이 상은 2장 이상으 로 분할 | ||
급폐식 |
- 밸브축에 코일스 프링 또는 웨이트 를 취부한 구조 또 는 그에 준한 구조 |
- 밸브에 자폐력을 갖게 하여 밸브의 폐쇄 지연에 의한 얍력 상승을 방지 |
- 밸브가 닫힐 때 실양 정의 약2배 의 압력이 걸인다. |
- 고압에 사용된다. | ||
바이패스 완폐식 |
- 바이패스 밸브를 설치후 여기에 대 쉬포트를 설치하 고, 바이패스 밸브 를 완폐하는것 |
- 펌프가 급 정지하 여 역류가 시작되 면 주 밸브는 즉 시 폐쇄되지만 대 쉬 포트의 작용에 의해 완폐된다. |
- 완폐밸브의 자동 확인은 역류시키 지 않으면 확인할 수 없다. |
- 역류시 수충격방 지 - 일반적으로 실양 정 약 10m~75m 에 사용 | ||
주밸브 완폐식 |
- 주밸브에 대쉬포 트를 설치하여 완 폐작동을 하는것 |
- 역류가 시작되면 대쉬포트의 동작 에 의해 주밸브가 완폐되어 충격을 방지 |
- 상동 |
- 일반적으로 저양정에 사용 | ||
리
프
트
형 |
스모렌 스키형 |
- 밸브 몸체안에 내장되어진 완충 깃과 스프링에 의 해 역류도 바뀌는 순간에 폐쇄된다. |
- 역류에 의한 밸브의 폐쇄시간 이 짧고, 수격에 의한 압력상승이 작다 |
- 밸브전후에 손실 차압이 크다. |
- 밸브를 급폐함으 로써 수충격을 방 지하는 장치 | |
플
랫
트
형 |
|
- 한방향으로 흐름 가능케한 슬링거 형의 역류방지 밸 브로서 관 끝부분 에 설치된다. 밸브 몸체는 구경의 대 소에 따라 한매부 터 여러매로 분할 가능 |
- 역류방지의 역할 - 슬림거형 보다도 압력 손실이 작다. |
- 역압에 대해서 수밀성이 좋지 않다. |
- 저양정, 대용량 펌프의 끝부분에 설치한다. | |
푸
트
밸
브 |
|
- 펌프 흡입구에 설치되는 일종의 역지밸브 |
- 펌프기동시 별도 의 프라이밍 장치 가 필요없다. |
-흡입수조 내에 있 기 때문에, 점검 및 취급이 불편하 다. |
- 중소형 펌프에 사용된다. |
5. 플랜지 규격
5.1 플랜지 규격의 종류
관의 플랜지규격에 대해서는 KS를 비롯하여 ANSI, BS, DIN 규격 등에 의해 사용 압력, 온도, 재질 등의 관계가 정해져 있지만, 그중에 KS 규격(KS B 1511-1987)을 <표4.16>에 나타내었다.
5.2 플랜지 규격의 대표 예
1) 호칭압 10Kgf/㎠ (KS B 1511-1987)
호 칭 지 름 |
적용하는 강 관 의 외 경 |
플랜지 지 름 (D) |
플랜지의 각부 치수 |
볼트구멍 | ||||||
t |
f |
지름 g |
중심원 |
볼트 호칭 | ||||||
회주철 이 외 |
회주철 |
지름 h |
수 |
지름 h | ||||||
10 15 20 |
17.3 21.7 27.2 |
90 95 100 |
12 12 14 |
14 16 18 |
1 1 1 |
46 51 56 |
65 70 75 |
4 4 4 |
15 15 15 |
M12 M12 M12 |
25 32 40 |
34 42.7 48.6 |
125 135 140 |
14 16 16 |
18 20 20 |
1 2 2 |
67 76 81 |
90 100 105 |
4 4 4 |
19 19 19 |
M16 M16 M16 |
50 65 80 |
60.5 76.3 89.1 |
155 175 185 |
16 18 18 |
20 22 22 |
2 2 2 |
96 116 126 |
120 140 150 |
4 4 8 |
19 19 19 |
M16 M16 M16 |
(90) 100 125 |
101.6 114.3 139.8 |
195 210 250 |
18 18 20 |
22 24 24 |
2 2 2 |
136 151 182 |
160 175 210 |
8 8 8 |
19 19 23 |
M16 M16 M20 |
150 (175) 200 |
165.2 190.7 216.3 |
280 305 330 |
22 22 22 |
26 26 26 |
2 2 2 |
212 237 262 |
240 265 290 |
8 12 12 |
23 23 23 |
M20 M20 M20 |
(225) 250 300 |
241.8 267.4 318.5 |
350 400 445 |
22 24 24 |
28 30 32 |
2 2 3 |
282 324 368 |
310 355 400 |
12 12 16 |
23 25 25 |
M20 M22 M22 |
350 400 450 |
355.6 406.5 457.2 |
490 560 620 |
26 28 30 |
34 36 38 |
3 3 3 |
413 475 530 |
445 510 565 |
16 16 20 |
25 27 27 |
M22 M24 M24 |
(500) 550 600 |
508 558.8 609.6 |
675 745 795 |
30 32 32 |
40 42 44 |
3 3 3 |
585 640 690 |
620 680 730 |
20 20 24 |
27 33 33 |
M24 M30 M30 |
(650) 700 (750) |
660.4 711.2 762 |
845 905 970 |
34 34 36 |
46 48 50 |
3 3 3 |
740 840 900 |
780 840 900 |
24 24 24 |
33 33 33 |
M30 M30 M30 |
800 (850) 900 |
812.8 863.6 914.4 |
1020 1070 1120 |
36 36 38 |
52 52 54 |
3 3 3 |
950 1000 1050 |
950 1000 1050 |
28 28 28 |
33 33 33 |
M30 M30 M30 |
1000 (1100) 1200 |
1016 1117.6 1219.2 |
1235 1345 1465 |
40 42 44 |
58 62 66 |
3 3 3 |
1110 1220 1325 |
1160 1270 1380 |
28 28 32 |
39 39 39 |
M36 M36 M36 |
(1350) 1500 |
1371.6 1524 |
1630 1795 |
48 50 |
70 74 |
3 3 |
1480 1635 |
1540 1700 |
36 40 |
45 45 |
M42 M42 |
2) 호칭압 20Kgf/㎠ (KS B 1511-1987)
호 칭 지 름 |
적용하는 강 관 의 외 경 |
플랜지의 각부 치수 |
볼트구멍 | ||||||
t |
f |
지름 g |
지름 C |
수 |
지름 h |
볼트 나사 호칭 | |||
회주철 이 외 |
회주철 | ||||||||
10 15 20 25 32 40 50 65 80 90 100 125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550 600 650 700 750 800 850 900 |
17.3 21.7 27.2 34 42.7 48.6 60.5 76.3 89.1 101.6 114.3 139.8 165.2 216.3 267.4 318.5 355.6 406.4 457.2 508.2 558.8 609.6 660.4 711.2 762.0 812.8 863.6 914.4 |
14 14 16 16 18 18 18 20 22 24 24 26 28 30 34 36 40 46 48 50 52 54 60 64 68 72 74 76 |
16 16 18 20 20 22 24 26 28 28 30 32 34 38 40 44 50 54 58 62 66 - - - - - - - |
1 1 1 1 2 2 2 2 2 2 2 2 2 2 2 3 3 3 3 3 3 3 5 5 5 5 5 5 |
46 51 56 67 76 81 96 116 132 145 160 195 230 275 345 395 440 495 560 615 670 720 790 840 900 960 1020 1070 |
65 70 75 90 100 105 120 140 160 170 185 225 260 305 380 430 480 540 605 660 720 770 850 900 970 1030 1090 1140 |
4 4 4 4 4 4 8 8 8 8 8 8 12 12 12 16 16 16 20 20 20 24 24 24 24 24 24 28 |
15 15 15 19 19 19 19 19 23 23 23 25 25 25 27 27 33 33 33 33 39 39 48 48 56 56 56 56 |
M12 M12 M12 M16 M16 M16 M16 M16 M20 M20 M20 M22 M22 M22 M24 M24 M30X3 M30X3 M30X3 M30X3 M36X3 M36X3 M45X3 M45X3 M52X3 M52X3 M52X3 M52X3 |
제5장 수충격 현상
1. 수충격 현상의 개념
1.1 단순관로의 수충격 현상
수충격 현상을 한마디로 정의하면 관로내의 유체속도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유체압력이 상승 또는 강하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수충격 현상의 기본개념의 이해를 위해 <그림5.1>과 같은 단순 관로계를 고려해 보자.
<그림5.1>에서 수조의 용량은 연결된 파이프 체적에 비해 무한히 크며, 연결파이프 내의 손실은 없고 파이프는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파이프 끝에 설치된 밸브를 갑자기 닫았을 때의 수충격 현상을 관찰해 본다.
<그림5.1>에서 L = 연결파이프 길이
H0 = 정상압력
V0 = 파이프내의 유체의 정상속도
t = 밸브급폐 이후의 경과시
a = 밸브급폐후 발생한 파이프내의 압력과
전파속도
hmax = 밸브급폐로 인한 유체의 최대상승압력
(hmax=aV0/g ; joukowsky의 식)
1) 단계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