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hernet to the Factory’라는 컨셉 하에 공장 네트워크 및 IT 네트워크를 컨버전스함으로써 얻는 이점 통해 고객의 생산 효율성 극대화시키는데 초점
▶시스코 시스템즈 코리아
IT 업계의 선두업체인 시스코가 올 하반기를 기점으로 산업용 이더넷 스위치 사업을 본격화할 것으로 보여 현재 산업용 네트워크 업계의 초미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시스코는 이미 제조분야의 네트워크의 상당 부분을 담당해왔는데, 지난 2006년 하반기 자동화 전문업체인 로크웰 오토메이션과 산업용 이더넷 스위치에 대한 전략적인 제휴를 체결하면서, IT 분야와 제조분야 모두에서 자사의 네트워크 역량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을 본격적으로 구축했다.
시스코는 로크웰과의 협력을 통해 디바이스 및 컨트롤 레벨의 네트워크에 해당하는 공장의 네트워크를 IT 네트워크와 컨버전스하는 작업을 통해 유저의 생산성을 극대화시키는데 초점을 맞춘 사업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시스코는 로크웰 오토메이션과의 전략적 제휴의 결과로서 올해 6월 산업용 이더넷 스위치인 「IE(Industrial Ethernet) 3000시리즈」를 로크웰과의 공동 브랜드로 출시할 예정.
이 제품은 FA 분야를 비롯한 Intelligent Transportation, 에너지 및 변전소 등 열악한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개발된 제품으로서, IEEE 1588이나 CIP, PTP(Precision Time Protocol), 멀티 캐스트, 리얼타임 등 FA 분야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이나 특성을 모두 반영한 매니지드 모듈러 스위치로 선보이게 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시스코는 로크웰과의 Co-work을 통해 이더넷을 기반으로 하는 토탈 IP 솔루션 프로바이더인 자사가 확보하고 있는 기술과, 제조 자동화 분야의 전문업체인 로크웰의 기술적 비전을 상호 공유하는데 우선적인 초점을 맞춘 사업을 전개한다는 방침.
‘Ethernet to the Factory’라는 컨셉 하에 공장의 네트워크와 IT의 네트워크를 컨버전스함으로써 얻는 이점을 통해 고객의 생산효율성을 극대화하고 토탈 소유비용을 절감시켜 줄 수 있다는 것이 시스코가 설명하는 공장의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IT 업체로서의 자사의 이점이다.
시스코가 산업용 이더넷 스위치 시장에의 진입을 통해 산업용 네트워크 시장에서 궁극적으로 얻고자 하는 것은 결국 토탈 IT 솔루션 프로바이더라는 자사의 기업목표와 일치한다.
즉, 현재 일반 IT 네트워크가 통신 디바이스뿐만이 아니라 음성, 비디오, 무선, 보안 서비스까지 통합이 되어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향후 공장 네트워크 역시 이러한 IT 네트워크의 특성을 융합시키면서 이더넷을 수용할 수밖에 없게 될 것으로 보고, 이러한 과정에서 네트워크 프로바이더로서의 축적된 기술과 토탈 노하우를 무기로 시장을 리드해 나가겠다는 것이 시스코의 산업용 이더넷 스위치 관련 사업전략. 결국 산업용 네트워크 시장에서 시스코가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은 산업용 이더넷 스위치라는 하나의 특정 제품이 아니라는 의미다.
“공장과 IT 네트워크의 컨버전스 통해 발생하는 다양한 솔루션 요구에 초점 맞춘 확장된 개념의 이더넷 비즈니스 전개가 목적”
LCD 및 반도체, 자동차, 중공업 등의 제조사 중심으로 영업 및 마케팅 스타트
▶시스코의 산업용 이더넷 스위치 시장 진출에 대해 기존 산업용 네트워크 업체들이 긴장하는 분위기다. 시스코가 산업용 네트워크 시장에 진출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시스코는 지난 1984년 네트워크 장비 벤더로 출발해 지금은 통신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음성, 비디오, 무선, 보안에 이르기까지 IT와 관련된 전 제품을 공급하는 토탈 IT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서 강력한 위상을 확보하고 있다. 시스코는 그동안 90% 정도에 해당하는 제조분야의 대기업에 네트워크 솔루션을 공급해 왔기 때문에 사실 시스코가 산업용 네트워크 시장에 새롭게 진출한다는 표현은 맞지 않는 말이다. 이미 우리는 하니웰이나 에머슨 프로세스 등과 같은 FA 및 PA 업체와도 파트너십을 맺고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우리가 산업용 네트워크 시장을 강화하는 데는 시장의 기술적인 트렌드와 맥락을 같이 한다.
현재 FA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특화되어 있지만, 앞으로는 이 영역이 변화해 나갈 수밖에 없다. 제조 시스템에서는 필드 레벨의 I/O 디바이스로부터 얻은 정보를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상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즉각적으로 고객의 요구를 반영해야 하고 응답이 빨라야 하며, 시각성이 높아져야 한다. 이것이 토탈 소유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하는 비즈니스의 공통된 컨셉이다. 여기에서 대두되는 것이 이더넷의 확장이다.
네트워크 분야에서 이더넷은 검증된 기술로서 사실상 표준으로 위치해 왔으며, 이미 기존의 기업 네트워크에서 다양하게 사용이 되고 있다. 시스코는 검증된 기술을 확장하는데 있어서 차별화된 방법으로 접근하고자 하는데 Ethernet to the Factory라고 하는 슬로건이 바로 그것이다.
▶그렇다면 IT 기업으로서 기존의 산업용 네트워크 업체와 차별화되게 시스코가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은 무엇인가.
산업용 전문 네트워크 업체들이 잘 할 수 있는 부분은 I/O 인터페이스에 국한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은 시스템의 전 계층을 넘어서 통신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것만 가지고는 토탈 소유비용 절감이나 효율향상이라는 기업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 결국, I/O의 데이터가 서버나 MES, ERP에까지 즉각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데 시스템의 계층 상 이러한 중간단계에 걸치는 솔루션들이 대부분 시스코의 장비다. IT 네트워크와 연결된 진정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시스코는 검증된 네트워크 기술인 이더넷을 근간으로 IT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솔루션에 정확한 해답을 줄 수 있다. 즉 검증된 네트워크 기술인 이더넷이 지니고 있는 장점과 시스코가 가진 IT 토탈 솔루션 능력이라는 경쟁력, 이 두 가지의 조화가 산업용 네트워크 전문업체와 달리 우리가 고객에게 줄 수 있는 이점이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이더넷과 관련된 모든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우리의 강점으로 이러한 경쟁력은 하루아침에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곧 출시될 산업용 매니지드 스위치인 「IE 3000시리즈」의 특징은 무엇인가.
「IE3000시리즈」는 FA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이나 특성을 모두 반영해 개발된 제품으로 10 메가 및 100 메가, 기가 링까지 광 화이버로 업링크할 수 있다. 기존에 우리가 공급해오던 「Catalyst 2955 시리즈」와 차별화되는 점이면서 이 제품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점은 손쉬운 사용에 초점을 맞춰 개발되었다는 것이다. 고장 시에도 다운타임을 줄이면서 쉽게 교체할 수 있다. 과거에는 온도나 분진, 습도, 진동 등이 심각한 산업 환경에서 오피스 레벨의 스위치를 사용했지만, 「IE3000시리즈」가 출시되면 고객은 진정한 산업용 이더넷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올해 산업용 이더넷 스위치 매출 목표는 어떻게 되나.
박스형 제품 하나가 들어가서 매출로 수치화되는 것보다 어떤 솔루션이 어떤 환경에 적용돼서 효과적인 비즈니스 환경을 만드느냐 하는 점이 우리에게는 더욱 중요한 부분이다. 이더넷이 컨트롤 레벨의 네트워크 부분에까지 확장이 되어 이에 대한 효율성을 인정받게 되면 단순하게 박스형 스위치만이 아니라 무선 랜 등과 연계가 돼서 IT 네트워크와 컨버전스되면 보안장비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된다. 또 이러한 과정에서 IP를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요구가 생길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RFID나 Voice 등 추가적인 솔루션이 필요하게 되고, 우리는 여기까지를 염두에 둔 솔루션을 고객에게 제안하고 있다.
▶「IE3000시리즈」의 우선적인 타깃 시장은 어디인가.
이더넷이 도입되면 기존의 설비나 운영체제, 인터페이스, 하드웨어에 대한 투자가 바뀌게 된다. 현재 GM이나 삼성 등 LCD 및 반도체, 자동차, 중공업 관련 대기업들이 필드부분에까지 이더넷을 적용하기 위한 시도를 적극화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 역시 성장세가 있는 이러한 기업들에 우선적으로 타깃을 맞춘 영업과 마케팅을 전개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그러나 확산이 된다고 가정한다면, 의외로 커머셜 부분의 수요가 더 클 수도 있다. 따라서 시작은 대형 제조사 중심으로 하지만, 시장의 추이를 보면서 우리의 영역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제품 로드맵에 대한 설명을 부탁한다.
이더넷 스위치가 적용이 되면 이를 통해 보안기능이나 무선, 음성기능에 대한 시장의 요구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러한 시장의 요구를 피드백해 제품개발에 반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