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R COMPRESSOR 입문)최고의 압축공기 시스템과 관리8 AIR COMPRESSOR 입문)최고의 압축공기 시스템과 관리8 관리자 기자 2008-02-05 11:07:31

< 목 차 >
26. 예방보전(Preventive Maintenance)*TPM
27. 에어 콤프레셔 사용에 대한 법규
28. 노즐로 환산한 에어 누출 양과 금액
29. AIR LOSS의 중요성
30. 압력비란 무엇인가?
31. 흡입온도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압축공기 생산량 변화
32. 흡입공기의 상대습도와 소비전력의 관계
33. 포화 수증기량 표
34. 기종 선정시의 주의사항
35. DRAIN TRAP의 종류 및 문제점 & 관리 POINT
36. 배선시의 주의에 대하여

1987년 Pressed Air System 전문업체로 출범한 (주)한국에어로는 무급유식 에어콤프레셔(Oil free Air Compressor) 및 급유식 에어콤프레셔(Oil injection Air Compressor), Air Cleaning System과 Energy Saving System, Drain Trap & 유수분리장치, Air Conditioning System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기계설비공사, Over Haul Center 운영 등을 통해 국내 공기압축기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2003년부터는 일본 Mitsui Seiki사와 한국 솔 에이전트 계약을 체결하고 무급유식 에어콤프레셔(Oil free Air Compressor)를 공급하여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이에 공기압축기 분야 20년 역사의 동사가 제공하는 "최고의 공기압축기 시스템과 관리" 자료를 이 업계 초보자 또는 입문자를 위해 기초부터 응용까지 연재하고자 한다.   <편집자 주>


34. 기종 선정시의 주의사항
  - 견적*거래시의 주의사항, 압축기의 사양으로 중요한 것은 공기량과 압력 -


1. Z스크류 콤프레셔 본체
-표준기종 중에서의 선정이 경제적
1. 용          도 : 업종, 사용목적, 가동장소
2. 기종 및 대수: 사용대수, 예비기기 대수
3. 흡 입 압 력 : 대기압력, 높은 곳의 경우는 온도, 기압변화, 습도를 확인
4. 토 출 압 력 : 표준압력(㎏f/㎠.MPa.N), 옵션압력(5.5~9.0㎏f/㎠.0,54~0.88MPa)
5. 공  기  량 : ㎥/㎜(흡입상태환산공기량), N㎥/㎜(표준상태, 온도, 습도, 대기압의 지시필요)
6. 상 용 압 력 : 소비자 사용압력
7. 냉 각 방 식 : 공냉 : A , 수냉 : W
8. 전          원 : 표준, 이 전압 (외국전압)
9. 주 파 수(㎐): 60㎐, 50㎐
10. 동        력 : 메이커 표준, 기타
11. 환        경 : 옥내, 설치장소, 주위온도, 습도, 분진
12. 대 수 제 어 : AUCS자동발정(1대),P식자동발정,자동교체운전,멀티콘,리모콘
13. 기        타 : 순간 정지대책, 한냉지, 방진필터, 더블오일필터, 지정색, (간이)옥외사양, ZU 윤활수 물 자동교환, 캘린더 타이머, 지연 타이머, 기동방법, 수출포장 등

2. 특별부속품
-수요자요구에 의하여 선정
1. 애프터 쿨러  : 공냉, 수냉
2. 에어드라이어 : 일체형, 별도거치형
3. 배수 분리기  : 수분 발생량에 의거한다.
4. 리시버 탱크  : 공기 사용량에 의한다.
5. 라인필터  : 공기 품질에 의한다.
6. 마이크로미립자필터 : 공기 품질에 의한다.
7. 냉  각  탑  : 수냉의 경우
8. 라인펌프  : 수냉 및 수압이 없는 경우
9. 이온크린  : 수처리장치
10. 기 타  : 송풍덕트(배관), 코몬배스(후레임), 흡입소음기

3. 설치 방법(참고)
 -지/보수/정비, TPM등을 고려.
1. 배치공간  : 기본적 배치(유지/보수 및 정비 공간)
2. 콤프레셔 룸  : 배치(본체 및 부속품), 환기, 배관방향
3. 환기방법  : 부분환기, 전체환기, 흡입위치, 송풍위치
4. 냉각방법  : 냉각탑, 라인 펌프

4. 설치조건 및 공사
 -공사의 경우는 업자와의 협의도 필요
1. 전원용량 : KVA(  V)
2. 냉 각 수 : 냉각탑, 저수조(순환/방수)
3. 냉각수 온도 : 사양 확인, 최고온도
4. 냉각수 종류 : 수도, 우물물(지하수), 공업용수, 하천수 (수압 ㎏f/㎠)
5. 설치장소 : 공장 내, 별동, 환기구의 유무
6. 설치공사 : 본체 및 부속품  : 공사의 유무
7. 배관공사 : 공기 및 냉각수  : 공사의 유무
8. 배선공사 : 전기배선           : 공사의 유무
9. 하강장치 : 현지 설비의 유무

5. 납입처
 -최종 사용자의 확인.
1. 사용자명 : 납입처, 주소(공급 장소), 담당자, 연락처, 증설계획 여부 확인
2. 기       타 : 상사명, 판매점, 서비스공장

압축기의 선정에 있어서 조건으로 요구되어지는 사용압력, 토출 공기량 등의 압축기사양, 또는 압축기형식(Z, ZU, ZK, ZD, ZS) 그리고, 소음, 진동 등의 환경문제가 적은 압축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욱이 현재의 필요성뿐만 아니라 장래의 계획에 대하여도 검토 하고, 설비비, 운전경비, 유지비 및 표준기종인 점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6. 설  명
1- 4. 압    력 : 압력의 손실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부속기기 (0,2 ~ 0,3 ㎏f/㎠)와 배관은 구경과  길이에 의한다.
1- 5. 공기량 : 가능한 한 모든 부하에 이르렀을 때 운전하도록 선택하고, 또, 변동 부하에 있어서는 최대수요전력(peak lode)일 때 용량을 결정해야 한다. 모든 단열효율은 100% 풍량일 때가 최적.(N2 가스발생 장치 같은 충진 용도 등의 경우는 별도 상세한 토의가 필요.)
1- 6. 상용압력  : 5.5 ~ 7(8,5) ㎏f/㎠의 범위는 PC밸브에서 조절가능.
                           5.5 ~ 7 ㎏f/㎠ 이하는 감압밸브를 사용.
                           7(8,5) ~ 9㎏f/㎠는전용에어 앤드, 기종에  
                           따라서는 14㎏f/㎠(1.37MPa) 까지 가능.
1- 8. 전    원 : 가능한 한 표준(200V)를 선정한다.
1- 9. 동력(전동기) : 메이커 표준 품을 추천 권장한다. 단, 전폐외선모터 요구 때는 옵션의 경우에 따라 선정한다.
1- 10. 환   경 : 온도, 습도, 분진오염, 염해 요주의, 용제부유, 가스, 소음레벨
1- 11. 대수제어: 멀티컨트롤러 SYSTEM으로 여러대의 COMP`를 사용할 경우  좋다.
2- 1. 애프터쿨러 : 공기중의 토출 온도가 높을 경우에 필요.
                              토출 온도는 흡입공기온도 + 10℃
2- 2. 에어드라이어 : 공기 중에 수분이 있어서는 안될 경우에 필요.
                                 토출온도는 흡입공기온도.
                                 (냉동식 + 흡착식)
2- 3. 드레인 배출기: 공기중의 유분을 배출하는 경우에 필요. 여러 종류 있음.
2- 4. 리시버 탱크  : 부하의 경감, 에너지절약, 일시 대용량의 공기에 유효.
2- 5. 라인필터  : 압축공기의 공기청정화에 필요
2- 6. 마이크로미립자필터 : 압축공기의 공기청정화에 필요
2- 7. 냉각탑: 수냉식 냉각수의 냉각에 사용. 물의 양에 맞는 것을 선택한다.
2- 8. 라인펌프 : 냉각탑 용, 냉각수의 순환, 양정, 토출량을 자주 조사한다.
2- 9. 이온크린 : 이온 활성수식, 녹, 스케일 발생방지장치
2-10. 기  타 : 송풍덕트의 V형에는 시리즈 화(삼영공업제)
                      흡입 소음기는 소음이 심한 경우에 효과적.
3- 1. 배치와 설계  : 참고도 작성, 단 사전에 자주 토의한다.
3- 1. 전원용량  : 확인하여 두지 않으면 가동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3- 2. 냉각수  : 수압 1㎏f/㎠는 양정 10m에 해당된다.
3- 5. 설치장소  : 콤프레셔실은 통풍조건이 원활해야 한다.
3- 6. 설치공사  :
3- 7. 배관공사  :
3- 8. 배선공사  :
3- 9. 하강장치  : 크레인이나 포크리프트를 사용한다.


35. DRAIN TRAP의 종류 및 문제점 & 관리 POINT



36. 배선시의 주의에 대하여


Z, ZU
 Z08 ~ 37AS-R
*전원선은 스타트박스 안쪽을 통과하고, 배면의 구멍보다 단자대에 접속하여야 한다.
*기동시는 필히 팬흡입 AIR END의 회전방향을 확인해야 하고 만약, 회전방향이 역방향일 경우는 전원의 상을 바꿔야 한다.

전기종 공통
*누전 절연열화, 과전류 과전류 결상운전 보호 장치 불량은 모터와 배선 전기회로에서 발화의 원인이 된다. 전기배선은 안전기술에 준하여 시공해야만 한다.
*주전원 라인에는 기종에 맞추어 노휴즈 브레카를 설치한다.
*어스선은 필히 단자대 근처의 어스에 접속해야 한다.
*보호 장치를 떼어내거나 전기회로상의 보호기능을 제거하는 등의 개조는 절대로 해서는 안된다. 그러한 개조를 할 경우는 보증의 대상에서 제외된다.
*설치부대공사기기의 선정은 아래의 표를 참고하여 선정한다.


<다음호에 계속>

® 자료제공 : 한국에어로(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