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R COMPRESSOR 입문)최고의 압축공기 시스템과 관리7 AIR COMPRESSOR 입문)최고의 압축공기 시스템과 관리7 관리자 기자 2008-02-05 10:54:22

< 목 차 >
26. 예방보전(Preventive Maintenance)?TPM
27. 에어 콤프레셔 사용에 대한 법규
28. 노즐로 환산한 에어 누출 양과 금액
29. AIR LOSS의 중요성
30. 압력비란 무엇인가?
31. 흡입온도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압축공기 생산량 변화
32. 흡입공기의 상대습도와 소비전력의 관계
33. 포화 수증기량 표
34. DRAIN TRAP의 종류 및 문제점 & 관리 POINT
35. 기종 선정시의 주의사항

1987년 Pressed Air System 전문업체로 출범한 (주)한국에어로는 무급유식 에어콤프레셔(Oil free Air Compressor) 및 급유식 에어콤프레셔(Oil injection Air Compressor), Air Cleaning System과 Energy Saving System, Drain Trap & 유수분리장치, Air Conditioning System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기계설비공사, Over Haul Center 운영 등을 통해 국내 공기압축기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2003년부터는 일본 Mitsui Seiki사와 한국 솔 에이전트 계약을 체결하고 무급유식 에어콤프레셔(Oil free Air Compressor)를 공급하여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이에 공기압축기 분야 20년 역사의 동사가 제공하는 "최고의 공기압축기 시스템과 관리" 자료를 이 업계 초보자 또는 입문자를 위해 기초부터 응용까지 연재하고자 한다.   <편집자 주>

29. AIR LOSS의 중요성


노즐에서의 공기 분사량 구하는 방법 및 AIR FLOW표

V : 공기분사량                         
   : 공기의 비중량 1.2kg/m3                           
 예) 노즐 내경=3Ψ, 게이지 압력=7kgf/cm2
      온도 t=20℃


A : 노즐 단면적    
C : 유량 계수 100% = 1
P : 절대압력(P+1.033)kgf/cm2
T : 절대 온도(t+273)

 

30. 압력비란 무엇인가?

토출압력과 흡입압력의 비는...

압력비(pressure ratio)라고 하는 것은 토출압력(절대압력)과, 흡입압력(절대압력)과의 비를 말한다.
즉,

여기에,
 γ   :  압력비 (-)
pd  :  토출압력 (kgf/㎠ abs)  게이지(gauge)압력+1.033
ps  :  흡입압력 (kgf/㎠ abs)  1.033(대기압)

일반적으로는 압축기의 토출압력과 흡입압력과의 비를 말하지만, 장소에 따라서는 압축기의 어느 단수만큼의 압축기의 토출압력과 흡입압력과의 비를 말하는 것처럼 특정한 장소를 취하는 경우도 있다.
압력은 모든 압력(전압)을 취하는 경우와, 정압을 취하는 경우가 있지만, 동력을 계산하기도하고, 압축기를 설계하는 경우에는 전압을 취하고, 기체 상태를 계산하는 경우에는 정압을 취한다.
압력 비는 압축기의 압력을 올리는 능력(승압능력)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이 값의 대소가 반드시 승압능력의 대소라고는 단정할 수 없는 것이므로 주의하지 않으면 안된다.
예를 들면, 1kgf/㎠ abs로부터 2kgf/㎠ abs까지 승압 할 경우의 압력비 r 은

 Pd / Ps  =  2 / 1  =  2


이고, 이 경우의 승압은  Pd-Ps = 2-1 = 1kgf/㎠ abs이다.
같은 압력비 r=2이더라도, r=20/10=2일 경우의 승압은 20-10=10kgf/㎠ abs이고, 앞에 표기한 예의 승압의 10배나 되게 된다.
자동차 등의 내연기관의 경우에 압축비라고 하는 용어가 있기 때문에 잘못하여 압축비라고 부르는 일이 있지만, 여기서는 압력비이고 압축비는 아니다.
단, 토출 용적과 흡입 용적과의 비를 취할 경우에는 압축비라고 말하는 일도 있다.


31. 흡입온도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압축공기 생산량 변화


32. 흡입공기의 상대습도와 소비전력의 관계


일반적으로 제습 압축 공기가 필요할 경우에 압축 공기가 콤프레셔를 나온 후 냉동식 드라이어 등으로 제습하나, 압축하기 전에 제습하면 여분의 수분을 압축하는데 필요로 하는 동력이 절감된다.  (그림 24-1 참조)
● 흡기저항과  소비동력과의 관계
콤프레셔의 흡기저항이 크면 당연히 소비전력도 증대한다. 흡기저항은 흡입측의 필터, 사이렌서(silencer), 배관의 밸브류 등에 의하여 증가한다. 이들의 압력 손실에 의해 콤프레셔의 흡입압력이 저하하고 동력이 증가한다.(그림 24-3 참조).


33. 포화 수증기량 표


<다음호에 계속>
자료제공 : 한국에어로(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