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뉴스를 즐겨찾기에 추가
검색
메뉴 열기/닫기
Today
인터뷰
산업뉴스
기획특집
기술제품동향
해외산업동향
산업정책동향
산업
뉴스
뉴스홈
산업뉴스
[Yeogie인터뷰] SMT 전문기업, 신성SMT
신성SMT 신영운 대표 신성SMT 신영운 대표의 22년 전기 경력과 함께 20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하고 있는 직원들의 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고품질 PCB를 제공하는 신성SMT. 과잉투자 보다는 현재 제공하고 있는 SMT 기술을 꾸준히 유지하면서 SMT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신성SMT를 본지에서 소개한다.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SMT 신성SMT는 SMD 장비 및 수작업으로 카드단말기, 엑스레이, PC 메인보드 등 전자제품에 들어가는 부품에 필요한 PCB(인쇄회로기판)에 SMT(Surface Mounti
전기
정하나 기자
2018-02-07 14:36:07
[Special Report] 모션 및 서보 업계, 지난해 ‘대박’ 올해까지 이어질까 - ④지멘스
지난 2016년부터 핸드폰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업계의 대규모 투자와 이차전지 업계의 투자가 이어지면서, 모션 컨트롤(Motion Control) 및 서보(Servo) 시장이 그야말로 ‘대박’을 맞았다. 호황을 맞아 물건이 없어서 납품을 못하는 현상까지 대두되면서, 지난 2017년 이 업계의 선발업체인 한국미쓰비시전기를 비롯해서, 한국야스카와전기나 한국오므론 등의 일산(日産) 서보 업체들이 사상 초유의 매출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2018년 역시, 중국의 프로젝트가 다수 예정되어 있는데다, 국내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18-02-07 09:21:51
[Special Report] SEMICON Korea 2018 하이라이트 - ②트라이텍
‘SEMICON KOREA 2018’이 지난 1월 31일(수)부터 2월 2일(금)까지 서울 COEX에서 개최됐다. 이번 전시회는 최근의 반도체 업계의 대규모 투자로 인해 호황을 맞이한 반도체 장비 및 자동화 업계의 기술행보를 한 눈에 보여준 것이 특징. 야스카와전기나 보쉬렉스로스, BECKHOFF, B&R, 훼스토 등의 글로벌기업을 비롯해, 오토닉스 및 한영넉스 등 국내 제어업계를 대표하는 업체들이 대거 참여해, 반도체 업계 요구에 맞는 최적화된 제품과 솔루션을 소개하는 한편, 전 세계적인 화두로 부상하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18-02-07 09:05:35
(주)한영넉스, 측정 및 제어에 관한 ‘Panel Solution’ 구현
(주)한영넉스의 다양한 제품들로 구성된 Panel Solution 지난 ‘SEMICON Korea 2018’에 참가했던 (주)한영넉스가 측정 및 제어에 관한 ‘Panel Solution’을 구현해 눈길을 끌었다. Panel Solution은 전력조정기, 온도 컨트롤러, 카운터, 타이머, 전원공급장치 등 (주)한영넉스의 제품들로 구성됐는데, 제품의 특징과 기능들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어 참관객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특히 슬림형 3채널 각상 개별제어 전력조정기는 제품 1대로 단상 3대를 개별
화학/고무/플라스틱
문정희 기자
2018-02-05 16:02:26
[Yeogie인터뷰] (주)드라스타, 가스 레귤레이터 전문 생산 기업
지난 1월 31일(수)부터 2월 2일(금)까지 코엑스에서 ‘2018 세미콘 코리아(SEMICON Korea 2018)’가 열렸다. 국내외 반도체 장비 및 자료, 부품, 설비 등 500여 개 기업이 참가한 본 전시에서 가스 레귤레이터를 전문으로 생산하며 승승장구하고 있는 (주)드라스타(www.drastar.co.kr)를 만났다. 동사는 전문성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해외에서도 인정받고 있다. 산업 영역 분산으로 불황을 모르는 기업 1996년 설립된 (주)드라스타(이하 드라스타)는 가스 레귤레이터만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전자/반도체
최윤지 기자
2018-02-05 10:51:28
[Special Report] 모션 및 서보 업계, 지난해 ‘대박’ 올해까지 이어질까 - ③B&R
지난 2016년부터 핸드폰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업계의 대규모 투자와 이차전지 업계의 투자가 이어지면서, 모션 컨트롤(Motion Control) 및 서보(Servo) 시장이 그야말로 ‘대박’을 맞았다. 호황을 맞아 물건이 없어서 납품을 못하는 현상까지 대두되면서, 지난 2017년 이 업계의 선발업체인 한국미쓰비시전기를 비롯해서, 한국야스카와전기나 한국오므론 등의 일산(日産) 서보 업체들이 사상 초유의 매출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2018년 역시, 중국의 프로젝트가 다수 예정되어 있는데다, 국내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18-02-05 09:37:51
[Yeogie인터뷰] 스마트 헬스케어 선두주자 (주)옴니씨앤에스
(주)옴니씨앤에스 김용훈 대표이사 2014년부터 2016년까지 헬스케어 기술 구축 및 공공 헬스케어 사업에 참여하고, 2017년부터 기술 신뢰성 확보 및 사업 다각화를 시도하고 있는 (주)옴니씨앤에스가 글로벌 시장 및 메디컬 분야로의 확대를 위해 달려가고 있다. 본지에서는 축적된 기술력과 노하우로 정신건강증진에 힘쓰고 있는 (주)옴니씨앤에스를 취재했다. 스마트 헬스케어 제품·솔루션·서비스 제공 2014년 3월에 설립된 (주)옴니씨앤에스(이하 옴니씨앤에스)는 모바일 콘텐츠 전문기업 옴니텔 출신의 핵심인력으로
자동화
정하나 기자
2018-02-05 09:13:04
[Special Report] SEMICON Korea 2018 하이라이트 - ①오토닉스
‘SEMICON KOREA 2018’이 지난 1월 31일(수)부터 2월 2일(금)까지 서울 COEX에서 개최됐다. 이번 전시회는 최근의 반도체 업계의 대규모 투자로 인해 호황을 맞이한 반도체 장비 및 자동화 업계의 기술행보를 한 눈에 보여준 것이 특징. 야스카와전기나 보쉬렉스로스, BECKHOFF, B&R, 훼스토 등의 글로벌기업을 비롯해, 오토닉스 및 한영넉스 등 국내 제어업계를 대표하는 업체들이 대거 참여해, 반도체 업계 요구에 맞는 최적화된 제품과 솔루션을 소개하는 한편, 전 세계적인 화두로 부상하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18-02-05 09:00:15
새로운 곳에서 펼쳐지는 ‘2018 차이나플라스’ 기대
올해로 32회를 맞이하는 CHINAPLAS는 매년 상하이와 광저우에서 번갈아 개최되며, 2018년에는 상하이에서 진행된다. CHINAPLAS 2018의 가장 큰 변화는 종래에 개최됐던 상하이 푸동(Pudong)에 위치한 SNIEC 전시장이 아닌, 홍차오(Hongqiao)의 NECC에 개최된다는 점으로, 기존보다 30% 더 커진 규모가 될 것이라는 예상에 벌써부터 기대감이 모아지고 있다. 새로운 곳에서 펼쳐지는 CHINAPLAS 2018을 본지에서 미리 만나보자. NECC로 이동하며 공간 부족 문제 해결 오는 4월 24일(화)부터 2
화학/고무/플라스틱
문정희 기자
2018-02-05 08:19:55
[Monthly Focus] 2018 세미콘코리아에서 찾은 로봇 혁신 기술들
반도체 산업은 로봇 기업들에게 있어 빅마켓 중 하나이다. 유수 반도체 전문 전시회에 여러 로봇 및 관련 기업들이 참여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번 2018 세미콘코리아 역시 반도체 장비업체 및 엔드유저들에게 혁신 기술을 알리고자 많은 로봇기업들이 참여했다. 이에 본지에서는 2018 세미콘코리아 속 로봇 기업들을 취재하고, 주요 기업들을 인터뷰했다. 보쉬렉스로스코리아의 XDK와 한화테크윈의 협동로봇 HCR-5 지난 1월 31일(수)부터 2월 2일(금)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에서 국내 최대의 반도체 전문 전시회 &lsquo
로봇
정대상 기자
2018-02-03 14:22:39
[Special Report] 모션 및 서보 업계, 지난해 ‘대박’ 올해까지 이어질까 - ②보쉬렉스로스코리아
지난 2016년부터 핸드폰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업계의 대규모 투자와 이차전지 업계의 투자가 이어지면서, 모션 컨트롤(Motion Control) 및 서보(Servo) 시장이 그야말로 ‘대박’을 맞았다. 호황을 맞아 물건이 없어서 납품을 못하는 현상까지 대두되면서, 지난 2017년 이 업계의 선발업체인 한국미쓰비시전기를 비롯해서, 한국야스카와전기나 한국오므론 등의 일산(日産) 서보 업체들이 사상 초유의 매출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2018년 역시, 중국의 프로젝트가 다수 예정되어 있는데다, 국내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18-02-02 09:12:31
[기고] BALLUFF, 매립형과 돌출형, 겉모습만으로 판단하지 마세요!
대부분의 유도형 근접센서 애플리케이션에서 하우징 디자인과 센서의 고정 방법은 고려할 사항이다. 센서 하우징 디자인은 이제껏 ‘차폐형(매립형)’ 또는 ‘비차폐형(돌출형)’으로 기술됐다. 실질적으로 비차폐형 및 돌출형이라는 용어가 다른 의미가 있듯이 차폐형 및 매립형도 다른 의미가 있다. 이러한 용어를 서로 바꿔 사용하면 일반적으로 혼란이 생겨난다. 추가로, ‘준매립형’이라는 새로운 용어가 시장에 나왔다. 이러한 용어와 의미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차폐형 근접센서
자동화
최교식 기자
2018-02-01 11:17:27
FIRST
PREV
256
257
258
259
260
NEXT
LAST
기획
특집
더보기
국내 SCADA 시스템 시장동향 /(5)엠투아이
국내 SCADA 시스템 시장동향 /(2)AVEVA Korea
[KOPLAS 2023 Review] 플라스틱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키워드, ‘친환경’과 ‘탄소중립’①
국내 SCADA 시스템 시장동향 /(4)싸이몬
국내 SCADA 시스템 시장동향 /(6)GE Digital
제품
뉴스
더보기
남방CNA(주), 산업용 에어로졸 제품군 갖춰 KOPLAS 2023 참가
PC 기반 제어를 통해 탐지 한계 수준에서 힘 측정, BECKHOFF
EtherCAT 이 있는 S-DIAS 모듈, 시그마테크(Sigmatek)
Beckhoff 혁신 기술, 임베디드 PC 개발 20주년과 XTS 개발 10주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