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우진플라임 기술교육원이 [월간 플라스틱기계산업] 독자들을 위해 사출성형기 운영에 필수적인 교육 정보를 매월 연재 형식으로 제공한다. 이번 호에서는 사출성형기 주변기계 정의와 함께, 핵심 장비들을 살펴본다.
1. 사출성형기 주변기계란
1.1 개요
주변기계는 사출성형기를 이용해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완벽한 성형품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기기 및 서비스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1.2 목적
사출성형의 3요소(사출성형기, 금형, 재료)로는 안정된 제품과 고품질의 제품 확보가 어려워 주변기계를 이용해 지속적인 고품질의 제품을 양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자동화 핵심 요소
2. 주변기계의 종류
2.1 금형온도 자동조절기
금형온도 설정의 목적
2.1.1 금형온도 테스트
이 글은 금형온도를 조절해 제품에 나타날 수 있는 불량과 치수 안정성에 대해 알아본 결과이다.
<우진플라임 기술교육원에 보유하고 있는 AB COVER>
금형온도 상승에 따른 현상 파악
본 실험은 금형 상·하측 온도를 30℃부터 80℃까지 10℃씩 상승시켜 제품에 나타나는 현상을 파악, 금형 온도의 중요성을 알아보려고 하는 것이다.
금형온도 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
본 실험을 통해 금형온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 치수 안정성과 제품 표면에 나타날 수 있는 불량을 줄일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2.1.2 금형 온도의 개념
금형의 온도는 수지가 닿은 금형의 캐비티 벽면의 온도를 말하는 것이다.
2.1.3 금형 온도 조절하는 이유
①CYCLE TIME 단축
②성형품의 개선
③성형품의 표면 상태개선
④성형품의 강도 저하방지
⑤성형품의 변형방지와 치수 정밀도 유지
2.1.4 금형 온도 조절기의 효과
금형 온도가 계속 유지되기 때문에 웰드, FLOW MARK, 휨, 광택도등 외관상 품질의 안정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SQ MARK 인증에서의 온도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보여주는 준비사항>
2.1.5 금형 온도 조절 장치의 종류
히터를 이용한 온도제어 방식
히터를 금형 속에 채결해 국부적으로 가열하는 방식으로 열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열을 내릴 수 있는 기능이 없기에 연속으로 사출성형 작업 시 금형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올라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히터를 이용한 온도제어 방식
매체 제어 방식
물, OIL 등과 같은 액체 매체에 열을 가해 금형의 온도를 관리하는 방식으로 물을 이용해 금형 온도를 관리하는 방식은 온수기, OIL을 이용해 금형 온도를 관리하는 방식은 온유기라고 하며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은 온수기이며 가압 방식을 이용하면 물의 온도를 150℃ 이상 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과 OIL를 이용한 금형온도 자동 조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