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Nikkei.jp]에 올려진 소니사의 최초의 곡선형 센서 사진은 빅딜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 회사의 기술은 더 좋은 품질의 이미지 사진과 더 저렴한 렌즈를 제공하는데 중심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소니사가 개발한 곡선형 이미지 센서로 촬영한 최초의 사진이 주목을 받는 이유이다. 소니사가 제작한 센서는 프로토타입이다.
안드로이드헤드라인(AndroidHeadlines)의 닉 수트리치(Nick Sutrich)씨가 화요일에 보도한 것에 의하면, 이 프로토타입 센서는 소니사가 생산에 돌입하려는 풀-프레임의 센서보다는 훨씬 낮은 해상도이다. 테크트리(TechTree)의 셸돈 핀토(Sheldon Pinto)씨는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소니사가 이 기술의 성능과 현재 모바일 폰에서부터 전문가용 카메라까지 사용되는 모든 표준 센서보다 효과적이라는 것을 매우 확신하고 있다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편평하고 일반적인 센서가 틀린 것은 무엇인가? 그것들은 펫츠발 곡선(Petzval curvature) 형태를 보이고 있다. 엔가젯(Engadget)에 의하면, 결과적으로 광학 디자이너들의 작업 결과는 렌즈에 비용이 많이 드는 부가요소를 만들어낸다. 리쉬 산얄(Rishi Sanyal)씨가 디피리뷰(DPReview)에 설명한 것처럼, "디지털 카메라 내의 센서는 일반적으로 편평하다. 그렇지만, 곡선형 센서는 높은 민감도, 우수한 이미지 품질을 약속하며 더 간단한 렌즈에 대한 전망을 제공한다." 소니사의 접근법에 의하면, 당신이 더 가까워질수록 더 큰 조리개를 가진 렌즈가 더 많은 빛을 끌어들이게 한다. 곡선형 CMOS 센서는 눈을 모방하여, 이러한 아키텍처를 가진 센서는 비슷한 수준의 곡선 형태로 광학적 이슈를 고정하려는 사람의 눈처럼 동작한다.
[IEEE Spectrum]은 최근에 곡선형 CMOS 센서의 일부 핵심 장점에 대해 상세하게 보도했다. 곡선형 CMOS 센서는 그것이 가진 형태 때문에, 플래터 렌즈(flatter lens)와 더 큰 조리개와 통합을 할 수 있어 더 많은 빛을 인입할 수 있다. 센서 어레이 가장자리의 포토다이오드는 중앙으로 굽어져서, 끌어들여 지는 빛은 그것들을 곧바르게 때린다. 구부러짐에 의해 센서에 유도되는 변형은 센서 지역에 있는 실리콘 장치의 밴드갭을 변경시켜, 외부의 빛을 받고 있지 않을 때에도 픽셀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성되는 소음을 감소시킨다.
[Mirrorless Rumors]는 이번 주에 그 자체 및 내부의 이미지가 아주 놀랍도록 선명한 이미지가 아니지만, 역사적인 중요성을 가진다는 사이트의 반응을 소개했다. "그 이미지는 결코 대단한 것은 아니지만, 소니사가 개발한 곡선형 센서가 촬영한 최초의 사진이라는 점에서 귀중한 것"이라고 [Mirrorless Rumors]는 덧붙였다.
소니가 개발한 곡선형 CMOS 센서가 촬영한 최초의 이미지에 대해, [Engadget]는 이 이미지는 디지털 카메라 영역에서 새로운 방향의 가능성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DPReview]의 산얄(Sanyal)씨에 의하면, 일부는 이 이미지를 역사적인 사건으로 보지만, 일부는 소니가 개발한 곡선형 CMOS 센서가 개발 초기 단계의 콘셉트에 불과하다고 간단하게 평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초, [Reuters]는 소니가 [Techno Systems Research]에 의하면 2012년 글로벌 CMOS 센서 시장에서 점유율 32.1%를 가진 최대의 기업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 출처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전문가 기고] 조선작업용 용접로봇의 현주소와 미래 - 페어이노](https://file.yeogie.com/img.news/202506/md/zlxTrfq6oy.jpg)

![[KOPLAS 2023 Preview] 삼보계량시스템(주), 플라스틱 펠렛 'PLATONⅡ'로 고객 눈길 사로잡다](https://file.yeogie.com/img.news/202302/md/4QINfMIE2G.jpg)


![[인터뷰] (주)서원, 플라스틱 상하수도 토목 자재로 안전·경제성 모두 잡다](https://file.yeogie.com/img.news/202510/md/1Jtu83XhEO.jpg)
